김종건(43세) 씨는 골프 스윙 동작 직후 하지 및 골반 부위 운동 소실, 대소변 조절 불능 등의 증상이 나타났습니다.환자는 L2 추간판 탈출로 근력 3/5, L3 추간판 탈출로 근력 2/5 그리고 L4-S1 추간판 탈출로 요추부 신경근 압박이 발생하여 수술을 받았습니다 현재 환자는 홍 응옥 종합병원 물리치료·재활의학과에서 집중적인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골프 스윙 한 번 후, 양쪽 다리 마비
홍 응옥 종합병원 물리치료·재활의학과 통카인린 석사*의학 박사에 따르면, 골프는 잦은 몸통 회전과 근육의 많은 힘을 요구하는 스포츠입니다. 경기 중 사고는 퇴행된 추간판이 요추부 신경근을 압박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신경근은 두 다리의 활동을 완전히 지배합니다. 따라서 이들이 손상되면 하지, 방광 및 직장 기능의 상실을 유발하며, 심한 경우 영구 마비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통 박사는 이어 “김종건 환자의 경우, 탈출된 추간판이 일반적인 위치보다 높은 부위에서 발생해 깊숙한 축삭까지 압박했고, 이로 인해 신경근 다발이 심하게 손상됐습니다. 따라서 환자는 압박된 탈출 부위를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후, 빠른 기능 회복을 위해 수술 직후 즉시 물리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재활 운동 시에는 출혈 및 감염 위험이 있는 수술 부위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jpg)
골프 스윙 직후 발생한 양측 하지 마비
치료 두 달 만에 근력 4/5까지 회복
환자를 인수한 직후, 린 박사는 환자를 진찰하고 각 단계별 치료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단계: 근육 자극, 이차 손상 방지, 통증 감소 및 다리의 운동 및 감각 기능 회복을 위한 이동 훈련
2단계: 근력 강화에 집중, 환자가 보조 없이 일상생활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서기 및 보행 훈련 실시
린 박사는 "지배 신경의 손상으로 인해 근육이 마비되었기 때문에, 신경이 회복되고 환자가 신체의 기능 저하 상태에 적응할 수 있도록 조건을 마련해야 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안전하고 수술 부위를 침범하지 않으며 수술되지 않은 다른 추간판 탈출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재활 원칙에 기반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주로 통증 감소, 운동 회복 및 감각 신경 자극을 위해 전기 침술과 병행하여 보조 운동을 실시했습니다. 환자의 근력이 향상되고 다리 부위에 명확한 감각이 나타나면, 능동 운동, 저항 운동, 수중 치료 풀과 병행한 서기 및 보행 훈련 등의 2단계로 전환하게 됩니다." 라고 말했습니다.
김종건 환자는 치료사의 도움으로 기립 훈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완전 양측 하지 마비와 근력이 거의 0/5에 가까웠던 환자는 2주간의 치료 후 짧은 시간 동안 서 있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4주 후에는 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보행 보조기를 사용하여 걷기 훈련을 했습니다. 현재 약 2개월간의 훈련 후, 환자는 스스로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되었고, 보행 보조기와 KAFO 보조기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서고 걸을 수 있으며, 하지 근력은 4/5에 도달했습니다.
김종건 환자는 보행기를 사용하고 KAFO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보행 훈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는 넘어지거나 긁힘, 타박상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아울러, 의사의 지시에 따라 가정에서 꾸준히 운동을 하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자세를 자주 바꿔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능하면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추간판 탈출증 환자 위한 전문가의 조언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의료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권장합니다:
- 무거운 물건 들지 않기, 갑작스러운 허리 굽히거나 비틀기 피하기. (만약 해야 한다면 올바른 자세로 들 것)
- 요가, 수영, 자전거 등 척추 및 코어 근육 강화, 이완, 통증 감소, 스트레칭에 도움이 되는 운동 선택
- 골프, 축구, 배드민턴, 테니스 등과 같이 강하고 갑작스러운 움직임이 많은 스포츠 제한
- (만약 해야 한다면) 충분히 워밍업하고, 올바른 기술과 자세로 플레이하며, 매일 허리 근육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 실시
- 오래 앉아 있지 않기, 개인에게 맞는 컴퓨터 책상 및 의자 거리 유지
- 특히, 물리치료 및 재활 치료 조기에 시작하고 치료 과정 정확히 따르기
- 정기적으로 검진하여 질병 상태 파악하기
- 스포츠 손상 시, 마비, 장애 등 합병증 피하기 위해 즉시 신뢰할 수 있는 의료기관 방문하여 제때 치료받을 것
—----------------------------
문의 및 진료 안내 – 물리치료·재활의학과
홍 응옥 종합병원: 하노이 바딘군 옌닌 거리 55번지 홍 응옥 종합병원 푹쯔엉민: 하노이 남뜨리엠군 쩌우반리엠 거리 8번지 핫라인: 091 124 1661